• 최종편집 2023-03-20(월)

글로벌
Home >  글로벌

실시간뉴스
  • 미 행정부, 미래 팬데믹 대비 대규모 투자 '아폴로 계획' 공개
    미 바이든 행정부는 향후 발생할 수 있는 팬데믹 등 생물학적 위협으로부터 자국을 보호하기 위한 계획을 지난 3일 발표했다. 미국 블룸버그통신이 4일 보도한 바에 따르면 , 바이든 행정부는 향후 10년 내에 코로나19와 같은 팬데믹이 재발할 것으로 예상하고 인명과 경제적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이른바 '아폴로 계획'(Apollo Plan)을 수립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 행정부가 수립한 아폴로 보고서의 정식 명칭은 미국 팬데믹 예방 전략(American Pandemic Preparedness: Transforming Our Capabilities)로, 과거 달 탐사를 위한 아폴로 작전에 준하는 긴요한 계획이라는 의미룰 담은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행정부는 계획 이행에 투입될 예산으로 향후 7~10년 동안 총 653억 달러를 제안하였으며, 보건복지부 내에 전담 부서(Mission Control Office)를 중심으로 계획을 이행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계획 초기 투입 비용은 150~200억 달러로 예상되며, 긴급 투자 분야는 백신·치료제 등 의약품 및 진단기기 개발, 감염병 모니터링 강화, 응급처치 개선, 보호장구 추가 등으로 알려졌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이미 2018년 2월에 우리가 알지 못하는 많은 병원균과 바이러스를 미지의 질병(Disease X)으로 명명하면서 이에 대한 연구개발이 필요하다고 발표한 바 있다. 한편, 한국바이오협회 산업정책연구팀은 이 보고서의 시사점과 관련, "우리나라도 코로나19 이후에 또 발생할 수 있는 신종 감염병에 대한 중장기 대책 마련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 글로벌
    2021-09-06
  • 인간 연골의 노화 반전, 젊음 회복… 일본 에도가와 병원의 동종 최초 성과
    관절 연골은 노화와 관련된 마모나 부상 또는 골관절염으로 심각하게 손상되고 관절 교체 수술 중 제거돼 대개 버려졌지만 이제는 다시 회복될 수 있으며, 노화를 되돌리는 혁신적인 기술을 통해 세포 치료의 잠재적 세포원이 될 수 있다.이 같은 사실은 네이처(Nature) 저널의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 www.nature.com/articles/s41598-021-93607-9)에 게시된 p16 및 p21 마커, 노화관련 베타-갈락토시다아제를 통해 확인됐다.고(故) 고시바 마사토시(Masatoshi Koshiba) 교수(노벨상 수상자, 2002)와 가토 마사히로(Masahiro Katoh) 박사가 노화된 관절이 회복될 수 있는지 여부에 관해 나눈 대화는 정형외과 의사인 가토 쇼지로(Shojiro Katoh) 박사가 획기적인 ELS-TALC 기술(뼈대로 보강되고 골격으로 둘러싸인 이식에 적합한 자가이식 연골세포 활용)을 개발하도록 영감을 줘 이 같은 성과를 낼 수 있게 했다.인체와 장기, 조직, 세포의 노화는 되돌릴 수 없으며 실험실 환경에서는 신체 내부보다 노화가 훨씬 더 빨리 진행된다. 그러나 ELS-TALC 기술은 기존의 관념을 완전히 뒤바꿨다. 이 기술은 유전자 조작이나 동물 추출 제품 없이 실험실에서의 궤적 교반(orbital shaking)이라는 신체적 조작법을 통해 이뤄지는데, 화학적으로 합성된 폴리머 골격의 조직 공학을 활용해 조직을 젊게 만든다. 이는 체내에서 유사한 환경이 만들어질 때 노화의 반전이 가능해질 수 있는 길을 열었다.ELS TALC 배양 연골세포는 모두 이상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ACI 및 MACI 치료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추천할 만 하다.(i) 관절에 적합한 유리질 연골:https://doi.org/10.1016/j.jor.2017.01.003(ii) 보다 효율적인 치유에 이상적인 히알루론산 강화:https://doi.org/10.1016/j.knee.2021.02.019(iii) 건강한 연골의 특징인 강화된 miRNA140:https://doi.org/10.1016/j.lfs.2021.119553(iv) 손상된 조직에서 자란 중간엽줄기세포인 연골전구세포:https://doi.org/10.1016/j.jor.2021.01.005(v) 다능성 마커 발현 및 조직 유사 성장:https://doi.org/10.1016/j.reth.2020.03.006(vi) 젊음을 증명하는 말단소립 길이 증가:영국발달생물학회 - 유전학회와 영국 노인학회 회의에서 발표. 2021년(vii) SA-µ-Gal, p16, p21을 낮춤; 노화 반전 확인:www.nature.com/articles/s41598-021-93607-9(viii) 임상 전 연구 입증, 생체 내 성공:https://doi.org/10.1016/j.jor.2017.01.003EELS-TALC 방법은 유전자 변형, 종양 유전자, 바이러스 또는 복잡한 성장 인자를 수반하지 않아 안전하다. 가토 박사는 임상 연구를 시작하기에 앞서 이전에 보고된 OPTRACT 방법(https://doi.org/10.1007/s10529-021-03116-y) 그리고 EELS, JBM, GN 코퍼레이션 및 인도의 NCRM이 지원하는 추가적인 안전 매개 변수를 기반으로 병원과 실험실 간의 이상적인 조직과 세포 운반을 평가하고 있다.
    • 뉴스
    • 학술.연구
    2021-07-18
  • 대마 합법화 관련 글로벌 소비자 반응 다양 ... ... 유로모니터 최근 발간 백서에서 밝혀
    세계적으로 대마에 관한 합법화 논의가 활발해지고 있는 가운데 글로벌 소비 트렌드를 예상한 보고서가 발표됐다. 글로벌 시장조사 기업인 유로모니터(Euromonitor International)는 소비자가 생활의 다양한 부분에서 대마 사용을 늘려 나갈 경우 2020년 300억 달러(약33조원)에서 2025년 900억 달러(약100조원) 이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유로 모니터는 최근 발간한 백서 'Breaking Stereotypes: Getting to Know the Cannabis Consumer'에서 2021년 현재 대마 소비자 기반을 6가지 유형으로 나눠 아래와 같이 소개했다. - 경험 많은 소비자(The Seasoned Consumer): 웰빙을 향상시키기 위해 장기간 대마를 애용하고 있는 일반 소비자. 이러한 소비자의 24%는 높은 스트레스 또는 극심한 스트레스를 겪고 있으며, 64%는 레크리에이션 차원의 합법화를 강력히 찬성하고 있다. - 캐주얼 소셜(The Casual Social): 더 폭넓은 라이프스타일의 한 부분으로 칸나비노이드 제품을 활용하는 젊고 새로운 소비자. 이들 중 75%는 적어도 한 달에 한 번 정도 비타민이나 건강보조제를 복용하고 있으며, 61%는 기호(여가)용 대마 합법화를 강력히 찬성하고 있다. - 간헐적 이용자(The Dabbler): 취미 차원의 대마 이용자. 대마 성분을 잘 알고 편안하게 느끼지만 라이프스타일의 핵심 부분으로는 간주되지 않는 부류다. 이들 중 68%는 의료용 합법화에 찬성하며, 45%는 합법적인 대마가 적어도 담배와 술만큼 널리 이용 가능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다. - 대마 호기심층(The Cannacurious): 자국내 합법화가 이뤄진 지역에서 성인용 대마 소비에 관심이 있지만 칸나비노이드 제품에 대한 지식은 많지 많은 대다수 소비자 그룹. 이들 중 56%는 의료용 합법화에 찬성하는 반면, 43%만이 성인용 자유화를 지지하고 있다. - 신중층(The Unsparked): 대마 사용에 대해 대외적으로 부정적인 입장이지만, 점차 더 많은 사람들이 대마 사용에 호의적으로 설득될 수도 있다고 내다보는 부류. 이러한 소비자의 18%는 대마가 안전하지 않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8%는 대마가 애용자의 라이프스타일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고 생각하고 있다. - 강력한 반대층(The Naysayer): 성인용 대마 사용에 강하게 반대하는 층. 합법화에 찬성하는 비율은 8%에 불과하다. 이들은 대마 생산자와 브랜드 소유자들에게는 마케팅 대상에서 일단 제외되어 있다. 이들 중 51%는 일상적인 스트레스가 없거나 낮다고 응답했다. 유로모니터의 니코틴 및 카나비스 산업 담당자인 세인 맥퀼 매니저는 “글로벌 시장에서 많은 소비자들이 칸나비노이드 관련 제품들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이번 소비자 분석은 대마 연관 일용소비재(FMCG) 산업 분야에도 시사점을 제공"한다고 강조하고, "칸나비노이드 소비자들은 대체로 음주를 적게 하고, 흡연 비율이 낮으며, 건강제품 이용 비율도 낮게 분석됐다"고 밝혔다.
    • 기획
    • 트렌드.컬럼
    2021-05-01
  • 타코닉 바이오사이언스, 새로운 코로나19 마우스 모델 출시
    신약 개발용 동물 모델 솔루션을 공급하는 타코닉 바이오사이언스(Taconic Biosciences)가 새로운 코로나19 마우스 모델을 론칭했다. 이번에 출시하는 인간화 ACE2(hACE2) 형질 전환 마우스 모델은 Taconic의 코로나19 연구 툴킷 제품군을 확대한다.Taconic은 2020년 10월 첫 hACE2 모델을 출시했다. AC70 마우스는 코로나19를 일으키는 SARS-CoV-2 바이러스 감염에 치사 반응을 일으킨다. 이와는 반대로 새로운 AC22 마우스는 치사성에 내성을 지녀 치료제, 백신, 감염 후 증상 연구에 사용할 수 있다.SARS-CoV-2 감염에 치사성을 보이는 다양한 hACE2 마우스 모델이 존재하지만, hACE2 AC22 치사성 내성 모델은 준치사 감염 연구에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중요하다. SARS-CoV-2에 감염된 대부분의 인간은 생존하기 때문에 준치사 질병과 회복을 재현하는 동물 모델이 필요한 상황이다. hACE2 AC22 마우스는 감염에 치사성을 가진 모델과 비교해 신약 효능을 평가할 수 있도록 더 긴 연구 구간을 제공한다.Taconic의 상용 모델 담당 팀장인 Dr. Michael Seiler는 “백신의 등장으로 팬데믹 종식의 희망이 보이지만, 코로나19에 대한 연구는 여전히 필요한 상황”이라며 “(코로나19에) 최근 감염된 인구수가 많다. 우리는 이 질병에 걸리고도 오래 살아남아 (생존력을) 인간 신체 상태에 복제할 모델이 필요하다. 새로운 AC22 모델이 관련 연구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는 게 얼마나 중요한지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고 밝혔다.연구 투입이 가능한 동물 모델 코호트는 주문 즉시 제공된다.hACE2 마이스와 Taconic의 코로나바이러스 툴킷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전화로 문의하면 된다.
    • 뉴스
    • 학술.연구
    2021-04-30
  •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시장전망과 기술개발 전략’ 보고서 발간
    씨에치오 얼라이언스가 발간한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시장전망과 기술개발 전략 보고서 표지 산업조사 전문 기관인 씨에치오 얼라이언스(CHO Alliance)가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시장전망과 기술개발 전략’ 보고서를 발간했다.전 세계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고통받는 가운데 치료제와 백신 개발만이 궁극적인 코로나19 종식의 해결책으로 인식되면서 제약 바이오산업의 역할과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EvaluatePharma의 조사에 따르면,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시장은 2019년 기준 2660억달러로 전체의약품 대비 29%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향후 6년간(2020~2026년) 연평균 10.1% 성장해 2026년에는 5050억달러에 달하면서 전체 의약품 시장의 35% 수준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국가별 바이오의약품 시장은 2019년 매출액 기준 미국이 61%를 차지하며 전 세계 바이오의약품 시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다음으로는 유럽 주요 5개국(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영국, 스페인)이 16%를 차지하고, 아시아 국가 중에는 일본(5%), 중국(3%)이 5위권 내 시장 점유율을 보이고 있는 반면, 한국은 0.7%로 매우 낮은 점유율을 차지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최근 국내 바이오의약품 시장은 바이오시밀러 분야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으나, 바이오의약품 수입액은 매년 증가해 2019년에는 수입 점유율이 60%로 나타나는 등 여전히 부진한 것이 사실이지만, 이는 그만큼 국내 바이오기업의 성장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라는 낙관적 분석도 있는 상황이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보여준 국내 기업의 우수한 진단기술과 방역 등에서의 성과가 ‘K-바이오’의 위상을 올려주면서 백신 및 치료제 개발로 그 성과를 극대화하려는 노력이 민관 합동으로 진행되고 있다.우리나라를 포함해 선진국을 중심으로 빠르게 진행 중인 고령화사회 진입으로 인한 노령인구 및 만성질환자의 증가는 의료(의약)수요를 꾸준하게 확대시키고 있으며, 반면 각국 정부는 약가 인하를 통해 재정 압박을 줄여야 하는 문제에 봉착해 바이오의약품의 시장 성장 환경은 더욱 양호해져 가고 있다고 할 수 있다.한편 최근 국내 바이오 의약품 시장에서는 희귀의약품시장과 반려동물용 약품시장도 성장시장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AI 등 첨단기술을 활용한 신약 개발과 IT기술과 융합한 디지털 치료제 등에도 관심을 갖는 등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 확보를 위한 연구개발을 강화해 나가고 있다. 또한 글로벌 선도 제약기업이 신약 승인 감소에 따른 연구개발(R&D)의 생산성 저하, 규제 강화, 기술 진보 그리고 전 세계적인 약가 인하 트렌드 등 변화하는 비즈니스 환경에 맞서 CMO를 통한 간접 생산 확대 등으로 대응하는 추세를 이용해 CMO 사업에서 신사업을 확대해 나가는 등 기회를 십분 활용하고 있기도 하다.이와 같은 다양한 바이오의약품 시장 환경에 주목해 씨에치오 얼라이언스는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시장의 주요 이슈와 시장 동향, 나아가 유망 기술과 선진국의 육성 정책, 관련 선도기업 등의 사업 동향과 전략을 조사 분석해 본서를 출판했다. 씨에치오 얼라이언스는 이 보고서가 바이오의약품 관련 사업을 추진하는 종사자뿐만 아니라, 관심을 가지고 계신 모든 분의 업무에 미력하나마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 글로벌
    2021-04-30
  • 아방스 클리니컬, ‘분산형 실험 - 이전으로 돌아갈 수 없는 획기적 발전’ 발표
    호주의 바이오테크 임상수탁기관(CRO) 선두주자이자 프로스트 앤드 설리번(Frost & Sullivan)이 수여하는 아시아 태평양 CRO 마켓 리더십 어워드(Asia-Pacific CRO Market Leadership Award)를 수상한 바 있는 아방스 클리니컬은 오라클 헬스 사이언스 커넥트 콘퍼런스에 초청받아 분산형 임상시험(decentralized clinical trials, DCT)의 미래에 대해 발표했다.· 발표 제목: 분산형 실험 - 이전으로 돌아갈 수 없는 획기적 발전· 오라클 헬스 사이언스 커넥트 콘퍼런스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링크를 참조하면 된다.· 발표 일자: 2021년 4월 23일 - 오후 3시 5분(호주/애들레이드 호주 중부표준시(ACST) 기준)이본 런저스하우젠 아방스 클리니컬 최고경영자는 분산형 임상시험(DCT)의 미래에 대한 자사의 견해를 공유하는 동시에 장차 성공의 결정적인 요인이 될 기술과 환자 관련 요소에 대한 의견을 밝혔다.아방스 클리니컬은 DCT 혹은 현장 기반 접근법을 필요로 하는 고객을 지원하기 위한 e임상 기술 전반을 활용하는 동시에 지속적으로 ePro와 eSource, eConsent를 포함한 고급 기술을 적절히 활용한다.런저스하우젠 최고경영자는 “DCT는 빠르게 뉴노멀로 자리 잡고 있으며, 현재 임상시험에 접근할 수 있는 다양한 환자들과 원거리 환자들을 위해서 뿐만 아니라 약품 개발의 측면에서도 놀라운 기회라고 할 수 있다”고 말했다.또 “사람들이 임상 참여와 병·의원 방문을 중단한 가운데 이번 전염병 사태는 분산형 임상시험 방식이 한층 빠르게 채택되는 촉매제가 됐다. 임상이 중단되면서 환자들의 목숨과 상당수의 투자가 위기를 맞고 있다”고 덧붙였다.이본 런저스하우젠 최고경영자는 DCT가 다음과 같은 장점을 지니고 있다고 밝혔다.- 환자의 진료 예약과 내원 부담을 경감: 환자의 집에서 편안한 진료를 제공할 수 있음- 전 세계적으로 환자를 임상에 연결할 수 있음: 과거의 임상 방식으로는 접근성이 떨어졌을 환자들이 이제는 임상에 손쉽게 접근할 수 있음런저스하우젠 최고경영자는 다음과 같은 난관 역시 언급했다.- 환자 관리 시 대면 접촉과 연속성 유지가 어려워짐- 원거리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임상시험용 의약품 배포- 환자의 집에서 이뤄지는 임상시험에 있어서 규율 준수 및 연구 과정 감독발표 내용으로는 분산형 임상시험 과정을 획기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여러 가지 기술적 진보로서 인공지능(AI)과 머신 러닝, 클라우드 컴퓨팅, 혈액 자가 채취 기기 등의 발전에 대한 내용이 언급됐다.- 웨어러블 기기는 손목에 스트랩으로 착용하거나 신체에 접착성 패치로 부착하는 등 여러 가지 잠재적인 쓰임새를 지닌다. 인공 지능이 내장된 이런 기기들을 이용해 원거리에서도 환자의 심박 수나 신진대사를 측정할 수 있다. 임상의는 안정적인 네트워크망을 통해 클라우드에 접속함으로써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받아 분석할 수 있다.- 화상 통화와 전자 알림을 통해서 임상에 참여하는 환자들이 지시 사항을 한층 원활히 이행하도록 도울 수 있다. 즉, 참가자가 적시에 약품을 복용하도록 하거나 전자 일지에 기록을 남기도록 돕는다.- 란셋(의료용 침)과 채혈기를 활용하도록 한 의료용 도구를 통해 자가 검체 채취 기능과 같은 환자 중심의 채취 기능을 추가하는 등 임상시험을 한층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퀴즈 풀기 링크를 통해 호주 내 임상시험(Australian Clinical Trials)에 대한 지식을 테스트해볼 수 있다. 오라클 헬스 사이언스 커넥트 콘퍼런스: http://www.oracle.com/in/industries/life-sciences/...
    • 글로벌
    2021-04-23
  • 호주 애질렉스 바이오랩스, 선도적 면역분석법 및 면역생물학 서비스 선보여
    호주 최대 규모, 최고 수준의 기술을 자랑하는생물분석학 임상 연구 업체 애질렉스 바이오랩스는 춘계 바이오 유럽 2021에서 규제 대상인 생물 분석 분야를 대상으로 하는 세계적인 수준의 면역분석법과 면역 생물학 서비스를 선보였다고 밝혔다.애질렉스 바이오랩스의 면역분석법 담당 부서장인 커트 세일즈 박사는 “우리의 숙련된 팀은 생물제제를 통해 전임상 GLP 혹은 임상 연구를 뒷받침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거나 이전할 수 있다. 세계적인 수준의 실험실에는 자이로랩 익스플로어(Gyrolab Xplore)부터 엠에스디 퀵플렉스 120(MSD Quickplex 120), 루미넥스 맥픽스(Luminex Magpix), 유세포 분석기(BD FACSymphony A3), 그리고 곧 발표될 디지털 액적 정량적 실시간 RT-PCR (digital droplet quantitative real-time RT-PCR)까지 다수의 최신 설비가 갖추어져 있다. 자사 과학자들은 최대 난제에 해당하는 면역원성 문제와 내약성 문제를 해결하기에 적합한 경력과 전문 지식을 갖추고 있으며 많은 초기 및 말기 단계 암에 대한 면역항암 연구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호주에서 동일 분야로는 유일하게 FDA 검사를 통과한 애질렉스 바이오랩스는 호주 정부가 임상시험 유치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임상시험 생물분석학 서비스에 소비한 비용의 최대 43.5%까지 보조금을 제공한다는 점도 장점으로 지니고 있다.그는 또 “우리 연구실의 바이오 분석 설비는 OECD GLP 인증과 NATA(OECD GLP 준수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호주 당국), ISO 17025 인증을 획득한 세계적 수준의 설비”라고 자부했다.호주 내 임상 시험 분야는 여전히 기업들에게 열려 있으며 애질렉스 바이오랩스는 필수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고객들은 연구 지속성을 확신할 수 있다. 호주는 소규모 감염 사태에도 신속하게 대응함으로써 자국 내 코로나19 감염 환자 수를 0에 가깝게 유지하고 있다.애질렉스 바이오랩스는 아태 지역과 미국 및 EU발 바이오테크 수요 증가에 발맞추어 연구실을 30% 이상 확장했다. 홈페이지에서 새로운 실험실의 소개 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 글로벌
    2021-04-09
비밀번호 :